Music

A.I.와 함께 나만의 노래 만들기 놀이... 그리고 A.I.의 한계

engbug 2025. 5. 18. 06:00

 

 

 

최근에 새로 즐기고 있는 취미가 생겼다.

 

내가 끄적인 글에 A.I.의 작곡 도움을 받아서 나만의 노래를 만드는 것이다.

 

우연히, Youtube를 보다가, SUNO라는 A.I.가 사람이 쓴 가사를 가지고 노래를 만들어 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호기심에 예전에 노래를 만들기는 했지만, 제대로 마무리하지 못하고 미완으로 있었던 Another Day의 가사를 붙여 봤는데...

 

 


처음 만들어진 곡이 너무 내 맘에 드는 거다.

아니, 이런 신세계가 있다니.... 그래서, 바로 유료 결재를 하고는 Another Day로 만들어진 곡에 대한 권리를 확보했다.

 

그러고 나서, 이번에는 예전에 한글로 끄적였던 것들을 붙여 봤는데... 괜찮다.

 

https://youtube.com/shorts/GlPgtnu6dKg?si=ZGpD75sSjzIYlY7Z

 

 

물론 중간에 알 수 없는 추임새가 들어가고, 발음이 약간 뭉개지는 부분은 아쉽지만....

그래도 전체적인 가사의 해석은 마음에 들었다.

 

 

 

A.I.를 이용한 노래 만들기의 한계

 

 

물론, 아직까지는 A.I.를 이용한 노래 만들기에 여러 가지 한계가 있다. 

 

지금까지 내가 느낀 한계는 다음과 같은데... SUNO가 아닌 다른 A.I.에서는 이를 극복한 경우가 있는지는 모르겠다. 

 

1. 소설, 그림, 음악 창작 등에서는 연속성과 일관성이 유지되어야 하는데, A.I.는 그렇지 못하다. 
예를 들면 작곡과정에서 A.I.가 생성한 곡의 어느 한 부분만 수정하고 싶을 때, 아직까지 A.I.는 단계별 빌드업으로 결과물을 내놓지 않기 때문에 전체 형태나 내용을 유지하면서 2,3단계 전으로 돌아가서 수정하거나, 부분적인 추가 작업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다.
 
2. A.I.의 작업방식은 인간의 방식과 다르고, 결과를 모방하거나 또는 결과를 한번에 만들어 내는 것 같다. 
따라서, 하나의 작품을 Step by Step으로 인간과 협업을 하면서 진행하는데 부적합하다. 이는 1번의 내용과도 연결되는 점이 있다.
 
3. A.I.는 어떤 식으로든 결과를 내기 때문에 거짓말을 하거나, 인간이 의도한 바와 다른 결과물을 내기도 한다. 

 

인간이라면, 상대방의 의도를 이해하고 만약에 그와 같은 결과물을 내 놓을 수 없을 경우에는 이를 설명하고 포기하거나 다른 수단을 찾는데, A.I.는 무조건 결과를 내 놓고, 그 결과에 대한 한계를 설명하면서 책임을 회피하는 방식을 취한다. 
더 심한 경우에는 Reward Hacking과 같이 A.I.가 틀린 답변을 제시했다가, 이를 사용자가 따져 물으면 결국 사과모드로 전환하는 경우도 많다. 

 

 

https://youtube.com/shorts/PaAOGFyabcc?si=Iz4Xq5jIYKCTTB8Y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