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지역에 출장을 갔을 때... 도둑질이나 나쁜 짓을 하는 것을 가리켜 '알리 바바(Ali Baba)'라고 말하는 걸 몇 차례 들은 적이 있다. 이때 Ali Baba는 그 행위자를 가리키는 명사형으로 쓰일 때도 있고, 그와 같은 행위를 하는 동사형으로 쓰일 때도 있다.
어쨌거나 Ali Baba는 그렇게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데... 우리가 알고 있는 Ali Baba의 이미지와는 많이 다르다.
우리는 천일야화(One Thousand and One Nights, 千一夜話)에 나오는 이야기 중에 하나인 '알리바바와 40인의 도적(Ali Baba and the Forty Thieves)'의 주인공으로서 그를 알고 있다.
부유한 상인의 둘째 아들인 Ali Baba는 욕심 많은 형인 카심(Cassim)이 유산을 모두 가로채자 나무꾼으로 생계를 이어가다가, 어느 날 40인의 도적들이 훔친 보물을 보관해 두는 동굴과 그 동굴의 문을 열고 닫을 수 있는 암호를... "열려라 참깨(open sesame)", "닫혀라 참깨(close sesame)"... 알게 되고, 그들의 보물을 가로채 부자가 된다. 그러자 욕심 많은 카심이 동생에게 그 정보를 알아내 동굴에 들어가서 보물을 찾는 데는 성공하지만, 그만 암호를 잃어버려서 나오지 못하고 도둑들에게 발각되어 사지가 찢겨 주고 만다. 그 후에 40인의 도적들은 알리바바에게 보복하려고 여러 차례 시도를 하지만, 번번이 영리한 여종인 '모르기아나(Morgiana)'에게 간파당해서 실패를 거듭하다가, 끝내 기름 항아리 속에서 뜨거운 기름을 뒤집어쓰고 최후를 맞이하게 된다.
'알리바바와 40인의 도적' 관련 wikipedia 웹페이지: https://en.wikipedia.org/wiki/Ali_Baba_and_the_Forty_Thieves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중동지역에서 Ali Baba가 나쁜 뜻으로 이미지로 사용되게 된 이유나 사연이 있을 것 같아서 찾아 보니, 정설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없지만... 대체로 이라크 전쟁 때 영어를 하지 못하는 현지인들이 미군들에게 테러리스트나 범죄자를 가리키며 'Ali Baba'라고 소리쳐서 알렸던 것에서 유래했다는 이야기나 미군들이 도둑이나 테러리스트 등의 나쁜 이라크인들을 통칭해서 'Ali Baba'라고 불렀다는 것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Ali Baba가 나쁜 의미로 사용되게 된 이유들을 언급하고 있는 urbandictionary 웹페이지:
https://www.urbandictionary.com/define.php?term=Ali%20Baba
전쟁이 남긴 또 하나의 씁쓸한 이야기라 할 수 있겠다.
'해외여행 > 여행 관련 상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동(Middle East) 지역 특산물 대추야자(Dates)와 관련한 이야기 (2) | 2022.10.23 |
---|---|
사우디아라비아의 거친 운전 문화와 차량 유지 관리에 관한 생각의 차이 (0) | 2022.09.28 |
무슬림 기도 시간(Salah Time) - 수니파(Sunni)와 시아파(Shia)의 차이점 등 (0) | 2021.09.18 |
유아 또는 미취학 어린이를 동반한 해외여행을 반대하는 이유 (2) | 2019.12.18 |
히말라야, 중앙아시아 - 그들의 생각과 사는 모습이 궁금하다. (0) | 2019.12.14 |
아랍인들은 왜 기하학적 모양에 신경을 쓰는 걸까? (0) | 2019.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