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여행 197

코로나 팬데믹 이후의 여권(Passport) 발급 현황 - 차세대 여권 2021.12.21. 부터 발급

내가 어릴 적부터 지금까지 40여 년간 보아왔던 대한민국 일반 여권(Passport)은 표지가 녹색이었다. 국내에만 있을 때는 비교 대상이 없으니 그렇지만, 공항을 가거나 해외를 다니면서 다른 나라의 여권을 보면 붉은색이나 파란색 계통의 여권들도 있는데 대부분 우리나라 여권보다 좋아 보였다. (남의 떡이 더 커 보이는 심리만은 아니었던 것 같다) 그래서, 우리나라도 나중에는 디자인과 색깔을 변경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곤 했는데, 2018년 12월 17일 정부는 여권정책심의위원회 제9차 여권행정분과위원회를 통하여 2020년부터 발급할 예정으로 차세대 전자여권의 디자인을 심의, 의결한다. (물론 일방적으로 선정한 것이 아니라, 국민 선호도 조사 등을 통해서 진행함) 그 결과로 확정된 것이 아래와 같은 남색..

무슬림 기도 시간(Salah Time) - 수니파(Sunni)와 시아파(Shia)의 차이점 등

눈치가 없으면 어디 가서 밥도 못 얻어먹는다. 중동 지역 중에서도 사우디아라비아로 출장을 가는 경우에는 도착하면서 가장 먼저 하는 것 중에 하나가 바로 무슬림의 기도(Salah) 시간을 확인하는 일이다. 눈치가 없으면 어디 가서 밥도 못 얻어먹는다는 말처럼, 이방인에 이교도인 우리의 입장에서는 현지의 문화와 종교적인 특성을 존중하고 이해할 필요가 있을 뿐 아니라, 실제로도 그러한 이해가 부족할 경우에는 밥도 제대로 못 먹고 다닐 수 있다. 식사와 관련한 문제는 최근에 변화가 보이고 있긴 하지만 말이다. 2021.07.20 - [해외여행/중동(Middle East)지역 뉴스] - 사우디아라비아, 기도 시간(Salah Time)에도 상점 개장하기로... 나의 경우는 어찌하다 보니... 무슬림 동료들과 근무를..

이집트, 2025년까지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17개의 담수플랜트 건설 계획 (feat. 르네상스댐)

이집트가 물 부족을 해소하기 위하여 2025년까지 17개의 담수화 플랜트를 건설할 계획이라는 소식이다. 이를 위해서 이집트 정부는 25억 달러를 투자할 파트너를 물색 중이라고 하는데, 이집트가 이렇게 담수플랜트를 건설하고자 하는 배경에는 에티오피아와의 르네상스댐(Grand Ethiopean Renaissance Dam) 분쟁과도 연관이 있다. 나일강의 수량을 많게는 80%까지 공급하는 청나일강(Blue Nile River)은 에티오피아에서 시작해서 수단과 이집트로 이어지는 약 1,450km를 흘러가는데, 상류지역인 에티오피아에서 전기 발전을 목적으로 높이 145m, 길이 1,780m, 저수량 10,200,000톤 규모의 댐을 건설한 것이다. 이로 인해서, 수단과 이집트는 나일강의 물을 과거처럼 사용하지 ..

사우디아라비아, 외국인의 부동산 소유 허용

보수적인 아랍권 국가들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더 보수적인 사우디아라비아에서도 변화의 움직임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그 동안 외국인들의 부동산 소유를 금지해 왔다. 그런데, 2021년 8월 10일자 Saudi Gazzette에 올라온 뉴스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외국인의 부동산 소유를 1건에 한하여 허용하기로 했다. https://www.saudigazette.com.sa/article/609669/SAUDI-ARABIA/Non-Saudis-can-buy-one-property-in-Kingdom Non-Saudis can buy one property in Kingdom Non-Saudis can buy one property in Kingdom www.saudigazette.com...

사우디아라비아, 기도 시간(Salah Time)에도 상점 개장하기로...

이미 다른 포스트에서도 여러 차례 언급한 바 있지만, 사우디아라비아는 우리나라와는 많은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는 기후, 지역 등의 자연적인 환경이 다르기 때문인 점들도 있지만, 종교적인 부분으로 인한 경우도 상당하다. 우선은 휴일이 다르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일요일부터 목요일까지 근무를 한다 관공서와 금융기관들은 금요일과 토요일 휴무를 하지만, 일반 기업들 중 많은 곳들이 토요일에도 근무를 한다(사우디 노동법상으로는 주 6일, 48시간 근무). 그리고, 하루 5번 있는 기도(Salah) 시간이다. 사업장마다 기도를 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 무슬림이 기도 시간이 맞추어 기도를 할 수 있도록 보장해 줘야 한다. 사우디라아비아의 경우에는 기도시간에 쇼핑몰, 음식점 등이 문을 닫는다. 그래서, 이와 같은..

사우디아라비아의 생일이 같은 사람들

MENA(Middle East and North Africa)는 우리에게는 여전히 많이 낯선 지역이다. 사우디아라비아 역시 마찬가지인데, 대부분의 사람들이 석유가 많이 나는 나라... 이슬람 국가... 정도로만 알고 있을 것이다. 지난 십여 년 전부터 이들 지역을 알아 가다 보니... 전에는 오해하고 있던 부분이나, 전혀 몰랐던 내용들이 많다. 그리고 가끔은 오늘 다룰 이야기처럼 재미있는 이야기들도 있다. 먼저 오늘 다룰 이야기를 하기 전에 달력 이야기를 해야 할 것 같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이슬람력을 사용한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오늘날 전 세계의 대부분의 국가들은 그레고리력(Gregorian Calendar)을 사용한다. 그런데, 사우디아라비아와 주변의 이슬람을 믿는 국가들의 경우에는 이슬람력(Islam..

Green Initiatives - Saudi Green Initiative & Middle East Green Initiative

한 동안 중동지역과 관련한 뉴스를 포스팅 소재로 다루지 않았었는데, 요 며칠 사이에 사우디 왕세자인 MBS(Mohammed Bin Salman)가 주창하고 나온 Green Initiatives가 흥미로와서 오늘은 그 이야기를 하려고 한다. 지난 2021년 3월 29일, MBS는 The Saudi Green and The Middle East Green Initiatives라는 내용을 공표한다. 그 내용인 즉, 앞으로 수십 년에 걸쳐 사우디아라비아에 100억 그루의 나무를 심고, 중동 지역에 500억 그루의 나무를 심겠다는 것이다. 그렇게 해서 기후 변화와 토양 악화 등에 대응을 하겠다는 것인데... 대부분이 사막으로 이뤄진 사우디아라비아와 중동 국가들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그렇게 많은 나무를 심고 가꾸는..

GCC국가들과 이스라엘 간의 관계 변화 - 영공 통과 허용 관련 뉴스

지난 8월 중순에 아랍에미리트(UAE)와 이스라엘 간의 관계정상화가 전격적으로 발표되었다. 그리고, 미국에서는 다른 GCC 국가들을 돌면서 이스라엘과의 관계 개선을 확대하거나 관련 협조를 구하는 모양새였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은, 9월 2일 사우디아라비아에서 UAE를 오고 가는 모든 비행기에 대한 자국 영공 통과를 허용한다는 뉴스가 나왔다. UAE는 이스라엘과의 관계정상화 후 항공편 운항을 개시한 바 있기 때문에, 이 상황에서 이와 같은 뉴스가 나왔다는 건... 사우디아라비아가 UAE를 오가는 이스라엘 국적기의 영공 통과를 허용했다는 의미로 이해된다. 이어서, 9월 4일에는 바레인도 같은 내용으로 뉴스 기사가 나왔다. UAE를 오가는 모든 비행기에 대한 사우디 영공 통과 허용 기사: https://a..

인도네시아 족자카르타(Yogyakarta) 신 국제공항 개청

세계적인 불교 유적 중 하나인 보도부드르 사원(Borobudur Temple)이 있는 인도네시아의 족자카르타(Yogyakarta)에 새로운 국제공항이 열렸다는 뉴스를 접했다. 새로운 국제공항인 Yogyakarta International Airport(욕야카르타 국제공항, YIA)는 Adisutjipto(아디수킵토 국제공항, JOG)보다 안전성 면에서 훨씬 강화되었을 뿐 아니라(뉴스 기사에서 나온 대로 정말 진도 8.8의 지진도 견디고, 12미터 높이의 파도도 견딜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수용인원 측면에서도 기존 공항이 연간 160만 명 규모에서, 새로운 공항은 연간 2000만 명까지 수용이 가능하다고 한다. 기존 공항과 신규 공항은 직선 거리로 약 44km(신공항은 구공항에서 남서쪽으로 바닷가 쪽에 ..

중동국가들의 인구 구성 비율 - GCC국가들을 중심으로...

사우디아라비아 뉴스를 보다가 외국인 비율에 관한 언급이 눈에 들어와서, 이번 기회에 언젠가는 한 번쯤 다루고자 했던 GCC(Gulf Cooperation Coucil)를 중심으로 한 중동국가들의 인구 구성 비율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아래 해당 기사의 말미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나온다. "Foreigners make up around 10.5 million of Saudi Arabia’s total population of 34.8 million." 외국인은 사우디 전체 인구 3,480만 명 중 약 1,050만 명을 차지한다. Riyadh에서 근로감독을 통해 19명의 위반자들을 체포했다는 Saudi Gazette 기사: https://saudigazette.com.sa/article/596664/SAU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