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시사,상식 92

바른 언어 사용 : 봬요 O / 뵈어요 O / 뵈요 X

우리말을 바로 사용하는 것에 관심을 가지고 보다 보니, 나 스스로도 그동안 잘못 알고 있거나 틀리게 사용해 왔던 표현들도 많고... 주변에 그런 경우도 심심치 않게 보게 된다. 오늘 다룰 '봬요', '뵈어요'도 그런데... 이를 '뵈요'로 잘못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도 그럴 것이 '뵈다'라는 동사는 '웃어른을 대하여 보다'라는 의미를 가지는 올바른 표현이기 때문이다.   표준국어대사전 '뵈다' 검색 결과 링크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word_no=152354&searchKeywordTo=3  그런데, '뵈다'에 보조사인 '요'를 결합해서 구어체로 표현할 때는 '뵈어요'가 되고... 이를 줄이면 'ㅚ + ㅓ'가 'ㅙ'가 되기 때문에'뵈요..

바른 언어 사용 : 띄어쓰기 '-는 데다가'

우리나라는 문맹률이 매우 낮은 국가에 속한다. 그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이유들이 회자된다. ① 우리 민족의 우수성... 쉽게 말해서 똑똑하다는 소리다. ② 높은 교육 수준... 교육에 관심이 많고 고등교육을 받은 비율도 높다. ③ 우수한 한글... 한글이 배우고 익히기 쉬운 언어란 이야기다.   사람이 언어를 익힐 때의 순서는 듣기와 말하기... 그다음으로 읽기와 쓰기가 일반적일 것이다. 어느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건 그 언어권에서 태어나고 자랐다면, 적어도 듣고 말하는 것을 통한 일정 수준의 의사소통 능력을 습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쓰기에 들어가서는 이야기가 다르다. 그냥 손이 가는대로 막 쓰는 것이 아니라, 제대로 쓰기 위해서는 말하고자 하는 내용이 글에 잘 담기고 정리되어 있어야 할 뿐 ..

크롬(Chrome)에서 유용한 확장 프로그램 - 텍스트 모드(Text Mode)

윈도우즈에 포함되어 있는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에서 엣지(Edge)로 넘어오는 과정에 번거로움이 많아서, 그 전에도 익스플로러 사용에 탐탁지 않았던 나는 언제부터인가 크롬을 사용하는 것을 더 선호하게 되었다. 크롬을 사용하면서 맘에 드는 확장 프로그램 중 하나로 오늘 소개하고자 하는 텍스트 모드(Text Mode)는 크롬으로 먼저 손이 가게 하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가 되었다. 위의 이미지에서 우측 상단에 퍼즐 조각(zigsaw puzzle piece) 모양을 선택하면, '확장 프로그램'으로 연결된다.   그럼 확장 프로그램들 중에서 텍스트 모드(Text Mode)를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는데... 이 텍스트 모드를 활성화시키면 웹페이지에 나오는 사진 또는 이미지들이 나타나..

바른 언어 사용 : 건설 분야에서 Acceleration과 Expedition의 구분

건설 분야에서 종종 일정을 앞당기기 위한 '공기 촉진'을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럴 때 사용하는 표현으로 Acceleration과 Expedition을 쓸 수 있는데, 둘 사이에는 엄연한 차이가 있다. 둘 다 공사기간을 단축시킨다는 결과는 같을지 모르지만, 그와 같은 행위를 하는 이유(?) 또는 동기(?)가 다르고... 그로 인한 효과 역시 다르다.  Acceleration은 당초 계약을 통해 완료하기로 한 기한보다 준공을 앞당기는 경우를 말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시공자 내지는 수급자가 Acceleration을 요구받았을 때, 이에 따를 의무는 없다. 기간 단축을 위해서는 당연히 짧은 기간 동안에 계획보다 인원이나 장비를 추가적으로 투입하거나, 동일한 인원과 장비를 사용할 경우에는 작업 시간을 ..

바른 언어 사용 : 귀이개 O / 귀후비개 X

표준어는 귀이개... 귀후비개는 방언(方言)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자주 접하거나, 사용하는 올바르지 않은 한글 표현들 중에는 사투리인데... 모르고 있는 경우가 제법 많다. 예를 들면, 귀지를 파는 기구로서 쇠붙이나 나무로 숟가락 모양으로 가늘고 작게 만든 귀이개를 귀후비개로 칭하는 경우를 심심치 않게 듣게 된다. 나 역시도 귀후비개를 어릴 적부터 많이 듣고, 사용했기 때문에 아직도 거부감이 적다. 그런데, 귀후비개는 표준어가 아니라 충청, 강원, 경남 지방의 사투리다.    귀지는 표준어... 귓밥이 귀지의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는 사투리 귀지의 경우도 이를 귓밥으로 표현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귓밥 역시 귀지의 의미로 사용될 때는 강원, 전남, 제주, 함북의 사투리다. 귓밥은 표준어로는 '귓불'의 의미로 ..

바른 언어 사용 : 우리나라 O / 저희나라 X

경어 사용이 보편적인 한글... 그리고 자기를 낮추는 겸양어우리나라는 예로부터 동방예의지국{東方禮儀之國 : (중국에서 봤을 때) 동쪽에 있는, 예의를 잘 지키는 나라}이라고 불릴 만큼 예절 바른생활이 보편화되어 있다.  생면부지(生面不知)라도 나이 많은 어른을 공경할 줄 알고, 모르는 사람을 함부로 대하지 않는다. 그러한 생활 습관이 언어에도 반영되어서인지 한글에는 경어(敬語) 표현이 다른 언어에 비해 보편화 되어 있다. 남을 높이는 방법 중에서는 상대방을 직접적으로 높이는 경우도 있지만, 자기를 낮추어 상대를 높이는 경우도 있는데 이런 말을 겸양어(謙讓語)라고 한다. 특히 호칭과 관련해서는 '나' 대신 '저'를 쓰고, '우리' 대신 '저희'를 사용한다. 저희나라는 왜 틀린 표현일까?위와 같이 예절이 몸..

바른 언어 사용 : 바램 X / 바람 O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접하는 비표준어의 사례 중 하나가 바로 오늘 이야기할 '바램'이다.  (오죽하면... 제목과 이미지에도 '바램'이 틀린 표현임을 강조하고자... 표준어인 '바람' 보다, 비표준어인 '바램'을 앞 세웠다.) "어떤 일이 이루어지기를 기다리는 간절한 마음"을 뜻하는 '바람'... 그런데 어떠한 이유에서인지 많은 사람들이 아무렇지도 않게 '바램'을 '바람'의 의미로 사용하는 것은 물론 가요의 가사에서 조차 '바램'을 사용하는 경우를 종종 접하게 된다.  헛갈릴 땐 동사형인 '바라다'와 '바래다'를 비교해 보자 '바람'과 '바램'... 둘 줄 어느 것이 바른 표현인지 헛갈리는 경우에는 이들의 동사형인 '바라다'와 '바래다'를 비교해 보면 쉽게 구분을 할 수 있다. '바라다'는 "생각이나 ..

바른 언어 사용 : 덤터기 O / 담타기 O / 덤태기 X / 덤탱이 X / 덤테기 X

우연히 지난 방송을 보다가 '덤태기'라고 말하는 배우의 대사가 귀에 들어왔다. '덤태기??' 표준어가 '덤터기' 아니었던가?? 아마도 제작 과정에서 그 부분을 걸러내지 못했거나, 사실적으로 연기를 하다 보니 그랬을 것 같은데...  덤터기는 '남에게 넘겨씌우거나 남에게서 넘겨받은 허물이나 걱정거리' 또는 '억울한 누명이나 오명'을 뜻하는 명사다. 그래서 보통은 "덤터기를 쓰다" 또는 "덤터기를 씌우다"의 형태로 표현된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담긴 '덤터기'에 관한 설명 :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wordsLink  그런데, 가만히 보니 덤터기와 관련해서는 다양한 발음과 표기의 비표준어가 사용되고 있다.   '덤태기', '덤탱이', '덤테기'가 ..

COVID-19 (코로나바이러스) 변이(Variants) 요약

세계보건기구(WHO, World Health Organization)가 코로나바이러스(COVID-19)의 대유행(Pandemic)을 선언한 것은 2020년 3월 11일이었다. 이제 1년 반 정도가 되어 가는 요즘... 세계 주요국가들이 올해 들어서 백신 접종을 본격화하면서 코로나 상황이 달라지는 모습도 보였고, 이 추세대로 잘 나가면 2021년 말이나 2022년 초에는 마스크를 벗고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지 않을까 하는 희망을 조심스럽게 가지기도 했다. 그러다가, 인도발 델타 바이러스와 델타 플러스 바이러스가 급속하게 퍼지고, 최근에는 전파율과 치명률이 기존 변이보다 높은 것으로 보이는 람다 변이의 돌파 감염(Breakthrough Infection) 위협이 커지면서 백신이 게임 체인저(Game Chan..

바른 언어 사용 : 쇠고기 O / 소고기 O

세상의 대부분은 변한다. 생명체는 생로병사를, 강산도 오랜 시간에 걸쳐 그 모습이 바뀐다. 그래서 사람들은 불변하는 것... 영원한 것에 큰 가치를 부여하고, 이를 추구하고, 집착(?)하는지도 모른다.  그럼 언어는 어떨까?? 사람이 의사소통을 하는데 사용하는 언어도 변한다.  위의 이미지에서 나오는 정조의 편지에서는 오늘 날 우리들이 사용하지 않는 단어와 표기가 보인다. 해설이 없었다면, 혼자서는 그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을 것 같을 정도로 오늘날 우리가 쓰는 한글과 다르다.(편지에는 이제는 사용하지 않는... '아래아'도 보이고, 발에 신는 '버선'을 뜻하는 '죡건(족건-足巾)'도 보인다) 과거에 사용하던 단어, 표기 또는 표현이 오늘날에는 사용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 반면에, 예전에는 사용하지 ..